재조명
최근 초등 자녀의 독서습관에 관해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. 독서는 모든 학습의 근간이 되는 활동으로 다양한 장르의 책을 읽은 후 느낀 점이나 생각을 글로 표현하고 의견을 나누는 것이 좋다. 또 초등독서 시에는 다양한 주제의 책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접근하는 것이 좋다. -2020.02.04.한국경제
최근 초등 교육은 스토리텔링 수학과 서술형 논술형 등 창의력과 사고력을 요구하는 발표와 토론 등 입시제도 뿐만 아니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교육과정에서 가장 기본 바탕이 독서능력이라는 것은 새삼 놀랍지 않다. -2020.02.07여성신문
필요성
디지털 시대에 접어들면서 많은 정보를 얻게 되었지만 집중력이 떨어지고 독해력 하락과 함께 어휘력, 사고력, 이해력까지 떨어지면서 ‘한 학기 한 권 읽기’, ‘과정 중심 평가’등 교육 과정에서도 변화가 생기고 있으나 학생들은 달라진 교육 과정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. 따라서 초등교육에서 스스로 사고를 통해 답을 만들어가는 훈련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.
학습내용
1.문학 : 고전, 창작, 철학 등 다양한 문학작품 읽기 및 다양한 글쓰기
시대적 공간적 배경 이해, 상황과 등장인물에 대한 비판과 공감
2.사회. 과학 : 사회, 문화와 관련된 시사를 통하여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이해 토론을 통한 해결방안 모색
3.문법 : 어휘력와 문법의 올바른 사용
기대효과
1.올바른 책읽기를 통하여 독서의 즐거움을 높일 수 있다.
2.다양한 측면에서 생각하여 사고의 폭을 넓힌다.
3.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서술할 수 있다.
4,책을 통하여 다양한 세상을 만나고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진다.